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및강박지침
격리및강박지침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이전 판
다음 판
이전 판
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및강박지침 [2024/06/27 22:16] – 격리강박의 시행시간 기준 이거니맨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및강박지침 [2024/07/31 18:43] (현재) – [처벌] 이거니맨
줄 1: 줄 1:
 ===== 출처 =====  ===== 출처 ===== 
  
-보건복지부가 발간한 『2024 정신건강사업안내』의 [별표 제Ⅴ-1-1호 격리 및 강박지침]에서 따온 것이다. +보건복지부가 발간한 『[[https://www.mohw.go.kr/board.es?mid=a10411010100&bid=0019&act=view&list_no=1480392&tag=&nPage=1|2024 정신건강사업안내]]』의 [별표 제Ⅴ-1-1호 격리 및 강박지침]에서 따온 것이다. 
  
 보건복지부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합동하여 만들었다.  보건복지부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합동하여 만들었다. 
줄 13: 줄 13:
 ===== 1. 정의 =====  ===== 1. 정의 ===== 
  
-가. ‘격리’는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정해진 제한된 공간에 자의적 또는 비자의적으로 혼자 머물거나 행동공간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. +==== 가. 격리 ==== 
-나. ‘강박’은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억제대나 보호복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.+ 
 +‘격리’는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정해진 제한된 공간에 자의적 또는 비자의적으로 혼자 머물거나 행동공간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. 
 + 
 +통상 '보호관찰실'이라고 부르는 독방에 가두는 것을 말한다. 돈만 밝히는 악독한 병원은 일부러 '보호관찰실'이라는 곳을 조명을 어둡게 하고 강박도구를 눈에 보이는 두는 방법으로 환자를 두려움에 떨게 만든다.  
 + 
 +정신병원의 진료기록부와 간호기록부에는 상단부분에 환자가 어디에 입원되어 있는지를 표시하고 있다. 만약 상단부분에 '보호관찰실'이라고 적혀 있다면 환자가 격리되어 있다고 알 수 있다.  
 + 
 +==== 나. 강박 ==== 
 + 
 +‘강박’은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억제대나 보호복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. 
 + 
 +악독한 병원은 환자를 죽이기 위하여 일부러 강박도구를 이용하여 억제를 시킨 후 약을 대량으로 입에 집어 넣고 있다. 
  
  
줄 21: 줄 32:
 ==== 가. 기본조건 ==== ==== 가. 기본조건 ====
  
-▪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위험에 이르게 할 가능성이 뚜렷하게 높고 신체적 제한 외의 방법으로 그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뚜렷하게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시행할 수 있음(정신건강 복지법 제75조제2항)+▪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위험에 이르게 할 가능성이 뚜렷하게 높고 신체적 제한 외의 방법으로 그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뚜렷하게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시행할 수 있음(정신건강 복지법 제75조제2항)
 + 
 +<WRAP center box law 95%> 
 +<wrap title> 
 +[[https://law.go.kr/%eb%b2%95%eb%a0%b9/%ec%a0%95%ec%8b%a0%ea%b1%b4%ea%b0%95%ec%a6%9d%ec%a7%84%eb%b0%8f%ec%a0%95%ec%8b%a0%ec%a7%88%ed%99%98%ec%9e%90%eb%b3%b5%ec%a7%80%ec%84%9c%eb%b9%84%ec%8a%a4%ec%a7%80%ec%9b%90%ec%97%90%ea%b4%80%ed%95%9c%eb%b2%95%eb%a5%a0|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]] 
 +</wrap>\\  
 +**제75조(격리 등 제한의 금지)** ① 정신의료기관등의 장은 입원등을 한 사람에 대하여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하는 경우가 아니면 격리시키거나 묶는 등의 신체적 제한을 할 수 없다. 
 + 
 +② 정신의료기관등의 장은 치료 또는 보호의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입원등을 한 사람을 격리시키거나 묶는 등의 신체적 제한을 하는 경우에도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위험에 이르게 할 가능성이 뚜렷하게 높고 신체적 제한 외의 방법으로 그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뚜렷하게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제1항에 따른 신체적 제한을 할 수 있다. 이 경우 격리는 해당 시설 안에서 하여야 한다. 
 +</WRAP> 
  
 ==== 나. 구체적 상황 ==== ==== 나. 구체적 상황 ====
줄 39: 줄 60:
 ==== 라. 목적의 정당성 ====  ==== 라. 목적의 정당성 ==== 
  
-환자관리의 편의성 및 행동문제에 대한 처벌적 조치로 시행할 수 없다.+환자관리의 편의성 및 행동문제에 대한 처벌적 조치로 시행할 수 없다.  
 + 
 +https://www.docdocdoc.co.kr/news/articleView.html?newscd=2015112600017   
 + 
 + 
 +https://m.blog.naver.com/jageunnamu/220580795087
  
  
줄 78: 줄 104:
 ^  :::  ^  격리  ^  강박  ^  격리  ^  강박  ^ ^  :::  ^  격리  ^  강박  ^  격리  ^  강박  ^
 |  1회 최대시간  |  12시간  |  4시간  |  6시간  |  2시간  | |  1회 최대시간  |  12시간  |  4시간  |  6시간  |  2시간  |
-|  연속 최댓히간  |  24시간  |  8시간  |  12시간  |  4시간 +|  연속 최대시간  |  24시간  |  8시간  |  12시간  |  4시간  
 + 
 +===== 5. 격리・강박의 모니터링 및 간호 ===== 
 + 
 +가. 격리나 강박이 시행되면 의료진 및 직원들은 환자의 직・간접적 요구사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임상적으로 적절한 관찰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 
 + 
 +나. 격리시 최소 1시간마다, 강박시 최소 30분마다 관찰 및 평가를 하여야 한다. 
 +▪ 억제대를 사용하여 강박을 하는 경우 최소 1시간마다 간호사정을 실시하며, 2시간마다 적절한 사지운동을 시켜주어야 한다. 필요시 환자의 신체자세를 바꿔주어야 한다.  
 + 
 +다. 강박동안 간호사정의 핵심적 내용은 혈액순환상태(피부색), 활력증후(혈압, 맥박, 체온, 호흡), 자세, 활동, 외상, 위험행동 여부 등이다. 
 +▪ 격리시에는 정서적 안정 상태 및 위험행동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. 
 + 
 +라. 환자상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담당의사 또는 당직의사에게 보고하여 대처해야 한다.  
 + 
 +마. 격리・강박의 종료가 가능할지에 대해서 환자의 정신상태를 평가하면서 의료진간 의사소통으로 격리・강박의 지속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.  
 + 
 +바. 격리・강박중 환자의 정서적, 신체적 욕구에 대해 민감하게 대처하고 적절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야 한다. 
 + 
 +사. 격리・강박이 종료된 이후에는 사후분석과 협의과정이 필요하다. 이를 통해 수행과정과 환자 및 격리・강박에 참여한 인원의 안전을 점검한다.  
 + 
 +아. 지진,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격리・강박 시행 중인 환자는 즉시 격리・강박을 해제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켜야 한다. 
 + 
 + 
 +===== 6. 격리・강박의 기록 ===== 
 + 
 +가. 격리・강박을 시행하는 경우 격리・강박 기록지(별지 제Ⅴ-1-1호)를 작성하여 별도로 보관한다. 
 + 
 +나. 진료기록부에는 격리・강박의 사유 및 내용, 병명 및 증상, 개시 및 종료시간, 지시자 및 수행자를 기록하여야 한다.(정신건강복지법 시행규칙 제51조) 
 + 
 +다. 격리・강박 시행중 주기적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한 내용을 격리・강박 기록지 또는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. 
 + 
 + 
 +===== 7. 격리(강박)실의 구조 및 강박 도구 =====  
 + 
 +==== 가. 격리(강박)실의 구조 ==== 
 + 
 +▪ 격리(강박)실이란 「정신건강복지법 시행규칙」 별표3 정신의료기관의 시설 및 장비기준에 따른 보호실을 말한다. 
 +* 정신건강복지법 시행규칙 별표3에 따라 입원환자를 보호실에 두는 경우에는 1명만 입실시켜야 한다.  
 + 
 +▪ 격리・강박은 격리(강박)실로 명시된 공간에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 
 +*보호복・보호조끼・휠체어 등 이동이 자유로운 억제도구를 이용한 강박은 예외적으로 적정 장소에서  
 +시행 가능 
 + 
 +▪ 격리(강박)실은 반드시 타인으로부터 인격이 보호되는 장소여야 한다. 의료진 및 보호사가 관찰창을 통해 환자를 관찰 가능해야하고 관찰을 지속적으로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가급적 간호사실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. 
 + 
 +▪ 격리(강박)실은 항상 청결을 유지하여야 하고, 환자 및 의료진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물건 또는 구조물은 제거한다. 벽면에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는 재질의 완충재를 설치한다. 
 +* 강박실을 격리실과 분리하여 따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강박실 벽면에 완충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음 
 + 
 + 
 +==== 나. 강박 도구 ==== 
 + 
 +▪ 강박 도구는 환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재질의 도구를 사용하여야한다.  
 + 
 +▪ 강박 도구는 청결하게 관리하고 사용해야 하며, 감염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소독 또는 세탁해야 한다. 
 + 
 + 
 +===== 격리・강박 기록지 ==== 
 + 
 +격리・강박 기록지의 서식[별지 제Ⅴ-1-1호] 은 다음과 같다.  
 + 
 + 
 +{{ :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강박기록지.pdf |격리 강박 기록지}} 
 + 
 +{{ :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강박기록지.hwp |격리 강박 기록지}} 
 + 
 + 
 +{{:소송실무:형사:정신건강복지법:격리강방기록지_1.png?600|격리강박 기록지}} 
 + 
 + 
 +===== 처벌 ===== 
 + 
 +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르지 아니하고 격리 및 강박을 하였다면 제86조 제10호 위반이다.  
 + 
 +<WRAP center box law 95%> 
 +<wrap title> 
 +[[https://law.go.kr/%eb%b2%95%eb%a0%b9/%ec%a0%95%ec%8b%a0%ea%b1%b4%ea%b0%95%ec%a6%9d%ec%a7%84%eb%b0%8f%ec%a0%95%ec%8b%a0%ec%a7%88%ed%99%98%ec%9e%90%eb%b3%b5%ec%a7%80%ec%84%9c%eb%b9%84%ec%8a%a4%ec%a7%80%ec%9b%90%ec%97%90%ea%b4%80%ed%95%9c%eb%b2%95%eb%a5%a0|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]] 
 +</wrap>\\  
 +**제86조(벌칙)**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. \\ 
 +10. 제75조제1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의 지시에 따르지 아니하고 신체적 제한을 한 자 
 +</WRAP> 
 + 
 +한편 격리 및 강박의 필요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가 격리 및 강박을 지시하였다면 가혹행위에 해당한다.  
 + 
 +<WRAP center box law 95%> 
 +<wrap title> 
 +[[https://law.go.kr/%eb%b2%95%eb%a0%b9/%ec%a0%95%ec%8b%a0%ea%b1%b4%ea%b0%95%ec%a6%9d%ec%a7%84%eb%b0%8f%ec%a0%95%ec%8b%a0%ec%a7%88%ed%99%98%ec%9e%90%eb%b3%b5%ec%a7%80%ec%84%9c%eb%b9%84%ec%8a%a4%ec%a7%80%ec%9b%90%ec%97%90%ea%b4%80%ed%95%9c%eb%b2%95%eb%a5%a0|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]] 
 +</wrap>\\  
 +**제84조(벌칙)**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. \\ 
 +11. 제72조제2항을 위반하여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 또는 그 종사자로서 정신건강증진시설에 입원등을 하거나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폭행을 하거나 가혹행위를 한 사람 
 + 
 +**제72조(수용 및 가혹행위 등의 금지)** ②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장이나 그 종사자는 정신건강증진시설에 입원등을 하거나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폭행을 하거나 가혹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. 
 +</WRAP> 
 + 
 + 
 +일부 악독한 정신병원은 멀정한 사람을 정신병원에 강제입원시킨 후 소위 '보호관찰실'이라고 부르는 독방에 격리 한 후, 강박도구를 이용하여 팔다리를 묶어 두고 강제로 향정신성의약품을 먹여서 사람을 죽게 만든다.  
 + 
 +===== 관련 기사 =====
  
 +양재진이 운용하는 병원에서 경리 및 강박지침을 어겼다는 의혹이 있다 
  
 +https://naver.me/F742Ba6Q
소송실무/형사/정신건강복지법/격리및강박지침.1719494164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4/06/27 22:16 저자 이거니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