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송실무:형사:도로교통법위반:음주운전
음주운전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| 이전 판 | ||
소송실무:형사:도로교통법위반:음주운전 [2023/12/27 13:21] – 교사의 성립요건 이거니맨 | 소송실무:형사:도로교통법위반:음주운전 [2024/04/30 16:52] (현재) – 이거니맨 | ||
---|---|---|---|
줄 3: | 줄 3: | ||
{{: | {{: | ||
- | 이하에서는 형사처벌의 관점에서의 음주운전을 다룬다. 행정처분은 [[소송실무: | + | 이하에서는 형사처벌의 관점에서의 음주운전을 다룬다. 행정처분은 [[소송실무: |
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나, |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나, | ||
줄 38: | 줄 38: | ||
2회 이상이면 실형을 각오해야 한다. | 2회 이상이면 실형을 각오해야 한다. | ||
- | 형사처벌 외에도 [[소송실무: | + | 형사처벌 외에도 [[소송실무: |
==== 1. 음주운전 ==== | ==== 1. 음주운전 ==== | ||
줄 103: | 줄 103: | ||
그런데 사회전체적으로 음주운전을 근절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서인지, | 그런데 사회전체적으로 음주운전을 근절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서인지, | ||
- | 음주운전에 대하여는 동승자에게 형법상의 교사(형법 제31조)나 방조(형법 제32조)를 쉽게 적용한다. | + | 음주운전에 대하여는 동승자에게 형법상의 교사(형법 제31조)나 |
- | 수사단계에서도 음주운전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동승자를 방조죄로 수사하고 있으며, | + | 수사단계에서도 음주운전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동승자를 |
판례도 동승자가 단순히 제지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음주운전 방조를 쉽게 인정하고 있다. | 판례도 동승자가 단순히 제지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음주운전 방조를 쉽게 인정하고 있다. | ||
줄 111: | 줄 111: | ||
=== 가. 스마트키 소지한 경우 음주운전 방조 인정 === | === 가. 스마트키 소지한 경우 음주운전 방조 인정 === | ||
- | 자동차 소유주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조수석에 앉은 경우에는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언제든 운전이 가능하므로 음주운전 방조의 고의를 인정한다. | + | 자동차 소유주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조수석에 앉은 경우에는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언제든 운전이 가능하므로 음주운전 |
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||
줄 138: | 줄 138: | ||
- | === 교사의 성립요건 === | + | === 다. 교사의 성립요건 === |
- | 방조와 마찬가지다. 이중고의가 필요하며 인과관계가 요구된다. | + | [[소송실무: |
교사란 범죄의 결의를 갖게 하는 것을 말하므로 단순히 범죄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 것만으로는 교사행위라고 할 수 없다. | 교사란 범죄의 결의를 갖게 하는 것을 말하므로 단순히 범죄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 것만으로는 교사행위라고 할 수 없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= 변호 방법 ===== | ||
+ | |||
+ | ==== 1. 교사 및 방조 ==== | ||
+ | |||
+ | 교사 및 [[소송실무: | ||
+ | |||
+ | 공범의 피의자신문 진술은 내용부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||
+ |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3항은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해당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유죄의 증거로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__해당 피고인과 공범관계에 있는 다른 피고인이나 피의자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해당 피고인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채택할 경우에도 적용된다.__ 따라서 해당 피고인과 공범관계가 있는 다른 피의자에 대하여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그 피의자의 법정진술에 의하여 성립의 진정이 인정되는 등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4항의 요건을 갖춘 경우라도 해당 피고인이 공판기일에서 그 조서의 내용을 부인한 이상 이를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사용할 수 없고, 그 당연한 결과로 위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는 사망 등 사유로 인하여 법정에서 진술할 수 없는 때에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규정인 형사소송법 제314조가 적용되지 아니한다. 그리고 이러한 법리는 공동정범이나 교사범, 방조범 등 공범관계에 있는 자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,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, 사용인, 그 밖의 종업원 등 행위자의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위자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기소된 경우, 이러한 법인 또는 개인과 행위자 사이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. | ||
+ | <wrap title>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==== 2. 음주측정 ==== | ||
+ | |||
+ | 한편 위 법조 제3항에 의하면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술에 취하였는지의 여부를 측정한 결과에 불복하는 운전자에 대하여는 그 운전자의 동의를 얻어 혈액채취 등의 방법으로 다시 측정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으므로, | ||
+ | |||
+ | (출처: 대법원 2002. 3. 15. 선고 2001도7121 판결 [도로교통법위반(음주운전)] > 종합법률정보 판례) | ||
+ |
소송실무/형사/도로교통법위반/음주운전.1703650867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23/12/27 13:21 저자 이거니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