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송실무:민사:공유물분할
공유물분할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| 이전 판 | ||
소송실무:민사:공유물분할 [2025/07/28 16:17] – 이거니맨 | 소송실무:민사:공유물분할 [2025/07/28 17:03] (현재) – 이거니맨 | ||
---|---|---|---|
줄 20: | 줄 20: | ||
즉, ① 공유물에 대한 공유자라는 것 ② 협의를 시도하였지만 성립되지 않았다라는 것만 청구원인으로 입증하면 공유물의 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. | 즉, ① 공유물에 대한 공유자라는 것 ② 협의를 시도하였지만 성립되지 않았다라는 것만 청구원인으로 입증하면 공유물의 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. | ||
- | ==== 3. 공유자 전원의 참여 | + | ==== 3. 법적 성격 |
+ | === 가. 고유필수적 공동소송 === | ||
다만 분할절차에는 공유자 전원이 참여야하여야만 한다. 협의이건 재판상 분할이건 불문한다. | 다만 분할절차에는 공유자 전원이 참여야하여야만 한다. 협의이건 재판상 분할이건 불문한다. | ||
줄 32: | 줄 33: | ||
즉, 공유물분할 소송은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다. 따라서 [[항소|일부 피고만 상소]]하더라도 전체 소송이 확정되지 않고 상급법원으로 이심된다. | 즉, 공유물분할 소송은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다. 따라서 [[항소|일부 피고만 상소]]하더라도 전체 소송이 확정되지 않고 상급법원으로 이심된다. | ||
+ | |||
+ | 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||
+ | [3] 공유물분할청구의 소는 분할을 청구하는 공유자가 원고가 되어 다른 공유자 전부를 공동피고로 하여야 하는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고, | ||
+ | \\ | ||
+ | <wrap title>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=== 나. 형성의 소 === | ||
+ | |||
+ | 공유물분할청구는 민법 제269조에 명문규정이 있는 대표적인 [[소의종류# | ||
+ | |||
+ | 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||
+ | 공유물분할청구의 소는 형성의 소로서 법원은 공유물분할을 청구하는 원고가 구하는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재량에 따라 합리적 방법으로 분할을 명할 수 있으므로, | ||
+ | \\ | ||
+ | <wrap title>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</ | ||
+ | |||
==== 3. 공유물의 분할금지 약정 ==== | ==== 3. 공유물의 분할금지 약정 ==== | ||
줄 74: | 줄 95: | ||
재판분할시 분할의 방법에 대하여는 항을 달리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. | 재판분할시 분할의 방법에 대하여는 항을 달리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. | ||
- | ==== 2. 경매분할 ==== | ||
+ | ==== 2. 협의 분할 ==== | ||
- | ==== 3. 재판분할 ==== | + | === 가. 원칙 === |
+ | |||
+ | 협의에 의하여 지분을 넘겨주는 자는 등기의무자가 되고, 지분을 취득하는자는 등기권리자가 되어 공유물분할을 공동신청하면 된다. | ||
+ | |||
+ | <WRAP center box law 95%> | ||
+ | <wrap title>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**제23조(등기신청인)** ① 등기는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등기권리자(登記權利者)와 등기의무자(登記義務者)가 공동으로 신청한다.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+ | === 나. 방법 === | ||
+ | |||
+ | 먼저 분필등기를 공동신청한다. | ||
+ | |||
+ | 이후 지분 이전등기를 공동신청하면 된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+ | ==== 3. 재판 분할 ==== | ||
=== 가. 현물분할 === | === 가. 현물분할 === | ||
공유자들 사이에 분할의 방법에 관하여의사가 합치하지 있지 않으면 재판분할을 하게 된다. | 공유자들 사이에 분할의 방법에 관하여의사가 합치하지 있지 않으면 재판분할을 하게 된다. | ||
+ | |||
+ | 이를테면 공유자 3명 중 2명은 분할에 동의하는데 나머지 1명이 분할에 반대하면 재판상 분할을 할 수 밖에 없다. | ||
+ | |||
+ | 그런데 공유물의 분할은 소유권에 따른 당연한 권리이므로 법원은 공유물분할자들의 지분 소유권이 인정된다면 대개 분할을 명하는 편이다. | ||
+ | |||
재판분할은 현물분할이 원칙이다. | 재판분할은 현물분할이 원칙이다. | ||
줄 158: | 줄 204: | ||
</ | </ | ||
- | 별지목록은 [[부동산의_표시|부동산의 표시]]를 참조하라. | + | 별지목록은 [[부동산의_표시|부동산의 표시]]를 참조하라. |
+ | |||
+ | |||
+ | ===== 참고 ===== | ||
+ | |||
+ | 멸실회복등기는 공유자 중 1인이 공유자 전원의 이름으로 그 회복등기신청을 할 수 있다. 따라서 고유필수적 공동소송이 아니다. | ||
+ | |||
+ | <WRAP center box precedent 95%> | ||
+ | [2] 수인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부동산에 관한 멸실회복등기는 공유자 중 1인이 공유자 전원의 이름으로 그 회복등기신청을 할 수 있고, 등기권리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상속인의 명의가 아니라 피상속인의 이름으로 회복등기를 하여야 하는 것이므로, | ||
+ | \\ | ||
+ | <wrap title> | ||
+ | [[https:// | ||
+ | </ | ||
+ | |||
+ | ===== 기타 ===== | ||
+ | |||
+ | ==== 1. 소송목적의 값 ===== | ||
+ | |||
+ | 인지대의 기초가 되는 소송목적의 값은 | ||
+ | |||
+ | 목적물건 값에 원고의 공유지분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 가액의 1/3 | ||
+ | |||
+ | 이다. |
소송실무/민사/공유물분할.1753687035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저자 이거니맨